고객지원
차별화된 온실을 건축하고 고객과 함께 성장하는 착한기업 주식회사 하임원예건축 건축사사무소입니다.
  >  고객지원  >  고객지원

[앵커] '슈퍼 T 데이'.'트럼프'와 '관세'

페이지 정보

작성자 smoot 작성일25-04-02 03:50 조회1회 댓글0건

본문

[앵커] '슈퍼 T 데이'.'트럼프'와 '관세'의 앞글자 T를 딴 말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모든 국가에 부과하겠다고 한 상호관세 발표 날짜를 뜻합니다.이 슈퍼 T데이가, 한국시간 3일 새벽으로 정해졌습니다.상호 관세는 두 나라가 같은 수준의 관세를 매기는 걸 뜻합니다.그래서 한미간엔 FTA로 관세가 사실상 '제로'라서 해당사항이 없어야 합니다.그런데 트럼프는 대미 무역 흑자를 보는 한국 같은 나라들이 각종 규제 등 비관세 장벽으로 편법을 쓴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미국은 과연 어떻게 상호관세를 매길지, 그 밑그림을 보여주는 보고서가 나왔습니다.한국 관련 내용도 포함돼 있습니다.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미국 무역대표부가 올해 '무역장벽 보고서'를 통해 국가별로 비관세 장벽을 정리했습니다. 한국에 대해선 30개월 미만 소고기만 수입하는걸 또 문제 삼았습니다. 원래 과도기적 조치였는데, 16년간 유지됐다는 겁니다. 특히 이번엔 한국이 대규모 무기 수입 시 그 대가로 미국에 기술이전 등을 요구하는 '절충교역'도 불공정하다고, 처음으로 지목했습니다. 네트워크 망 사용료나 한때 한국 정치권이 추진했던 온라인 플랫폼 규제 법안 등 존재하지 않는 장벽도 거론됐습니다. 모두 지속적으로 제기돼온 미국 관련 업계의 우려와 요구가 반영된 것인데, 문제는 타이밍입니다. 상호 관세 발표를 앞둔 상황이라 미국의 무역적자를 안기는 한국에 대한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습니다.[캐롤라인 레빗/백악관 대변인 : "미국을 불공정하게 대우해 온 나라는 어떤 나라든지 이번 수요일에 보복 관세를 받을 것으로 예상해야 합니다."] 관세 부과 방식을 놓고 오락가락했던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엔 면제받는 국가는 없을 거라면서도 관세율은 조정 여지가 있는 것처럼 말했습니다.[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관세율은) 지금까지 우리가 부담해 온 것보다는 낮은 수준이 될 것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꽤 크게 낮아질 수도 있습니다."] 한국이 상호 관세를 피하기는 어려운 게 현실입니다. 다른 나라들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관세율을 이끌어 내는 게 협상 목표가 되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서삼현/그래픽:채상우/자료조사:권애림■ 제보하기▷ 전화 : 02-781-1234, 4444▷ 이메일 : kbs1234@kbs.co.kr▷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앵커] '슈퍼 T 데이'.'트럼프'와 '관세'의 앞글자 T를 딴 말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모든 국가에 부과하겠다고 한 상호관세 발표 날짜를 뜻합니다.이 슈퍼 T데이가, 한국시간 3일 새벽으로 정해졌습니다.상호 관세는 두 나라가 같은 수준의 관세를 매기는 걸 뜻합니다.그래서 한미간엔 FTA로 관세가 사실상 '제로'라서 해당사항이 없어야 합니다.그런데 트럼프는 대미 무역 흑자를 보는 한국 같은 나라들이 각종 규제 등 비관세 장벽으로 편법을 쓴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미국은 과연 어떻게 상호관세를 매길지, 그 밑그림을 보여주는 보고서가 나왔습니다.한국 관련 내용도 포함돼 있습니다.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미국 무역대표부가 올해 '무역장벽 보고서'를 통해 국가별로 비관세 장벽을 정리했습니다. 한국에 대해선 30개월 미만 소고기만 수입하는걸 또 문제 삼았습니다. 원래 과도기적 조치였는데, 16년간 유지됐다는 겁니다. 특히 이번엔 한국이 대규모 무기 수입 시 그 대가로 미국에 기술이전 등을 요구하는 '절충교역'도 불공정하다고, 처음으로 지목했습니다. 네트워크 망 사용료나 한때 한국 정치권이 추진했던 온라인 플랫폼 규제 법안 등 존재하지 않는 장벽도 거론됐습니다. 모두 지속적으로 제기돼온 미국 관련 업계의 우려와 요구가 반영된 것인데, 문제는 타이밍입니다. 상호 관세 발표를 앞둔 상황이라 미국의 무역적자를 안기는 한국에 대한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습니다.[캐롤라인 레빗/백악관 대변인 : "미국을 불공정하게 대우해 온 나라는 어떤 나라든지 이번 수요일에 보복 관세를 받을 것으로 예상해야 합니다."] 관세 부과 방식을 놓고 오락가락했던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엔 면제받는 국가는 없을 거라면서도 관세율은 조정 여지가 있는 것처럼 말했습니다.[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관세율은) 지금까지 우리가 부담해 온 것보다는 낮은 수준이 될 것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꽤 크게 낮아질 수도 있습니다."] 한국이 상호 관세를 피하기는 어려운 게 현실입니다. 다른 나라들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관세율을 이끌어 내는 게 협상 목표가 되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서삼현/그래픽:채상우/자료조사:권애림■ 제보하기▷ 전화 : 02-781-1234, 4444▷ 이메일 : kbs1234@kbs.co.kr▷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주식회사 하임원예건축 건축사사무소  |  대표자 김진국  | 사업자등록번호 377-88-00723  |  TEL 033-241-8683  |  FAX 033-241-9749  
ADD 강원도 춘천시 퇴계로93번길 4-8 이삭빌딩 503호
E-mail visionkjkj@naver.com  |   Copyrightsⓒ2019 (주)하임원예건축 All rights reserved.  |  개인정보처리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