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지원
차별화된 온실을 건축하고 고객과 함께 성장하는 착한기업 주식회사 하임원예건축 건축사사무소입니다.
  >  고객지원  >  고객지원

네이버블로그매크로

페이지 정보

작성자 유니2 작성일25-03-29 01:31 조회3회 댓글0건

본문

네이버블로그매크로 [앵커] 해마다 3백여 건의 크고 작은 산불이 발생하는 중국에서는 인공적으로 비를 만드는 '인공강우' 기술을 꾸준히 개발 중입니다. 인공강우 전용 드론까지 자체 개발했을 정도인데요. 산불을 진압하기 위한 중국의 인공강우 기술은 어디까지 왔는지, 베이징 김효신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 2022년 중국 쓰촨성 이빈시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했습니다. 산등성이를 따라 번진 산불이 사흘이나 이어지자 당국은 인공강우를 만드는 대형 드론을 투입했습니다. 산불 지역에 도착한 드론은 촉매제를 구름 사이에 뿌렸고, 1시간 만에 비가 내려 큰 불길을 잡았습니다. 드론 대신 지상에서 로켓을 이용하기도 합니다. 2019년 쓰촨성 산불 때는 로켓 6기에 인공강우 촉매제를 실어 쏘아 올렸습니다. [인공강우 현장 직원/2019년 : "이미 비가 오고 있습니다. 강우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인공강우의 핵심은 물방울 생성을 촉진하는 요오드화은 같은 촉매제를 수분이 있는 구름까지 보내는 겁니다. 드론이나 항공기, 로켓 등은 촉매제를 운반하는 수단입니다. 최근에는 아예 지상에서 촉매제를 태워 공중으로 보내는 방식도 시도됩니다. 하지만, 구름층 두께가 2km 이상이어야 비를 만들 수 있고, 아직까진 성공하더라도 강수량이 최대 30%가량 늘어나는 정도입니다. 비가 오도록 돕는 거지, 없는 비를 만드는 건 아니란 겁니다.[사슈주/중국 허난성 인공강우센터 : "일부 대기에 인공적인 영향을 줘서 강수량을 증가시키는 게 목적입니다. 인공강우 작업은 하늘에서 없는 비를 만드는 것이 아닙니다."] 50년 가까이 인공강우 기술을 연구 중인 중국은 전용 항공기 50여 대를 보유하고 있고, 최근엔 자체 개발 전용 드론을 현장에 투입할 정도입니다. 중국은 연평균 500억 톤의 인공강우를 뿌리고 있습니다. 인공강우가 적게 내리더라도 습도를 높여 산불 진압에 도움이 된다는 판단에 활용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김효신입니다. 촬영기자:안용습/영상출처:하오칸/영상편집:이웅/그래픽:김지훈/자료조사:이수아■ 제보하기▷ 전화 : 02-781-1234, 4444▷ 이메일 : kbs1234@kbs.co.kr▷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네이버블로그매크로 네이버블로그매크로

네이버블로그매크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주식회사 하임원예건축 건축사사무소  |  대표자 김진국  | 사업자등록번호 377-88-00723  |  TEL 033-241-8683  |  FAX 033-241-9749  
ADD 강원도 춘천시 퇴계로93번길 4-8 이삭빌딩 503호
E-mail visionkjkj@naver.com  |   Copyrightsⓒ2019 (주)하임원예건축 All rights reserved.  |  개인정보처리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