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지원
차별화된 온실을 건축하고 고객과 함께 성장하는 착한기업 주식회사 하임원예건축 건축사사무소입니다.
  >  고객지원  >  고객지원

4 현재의 국명 복수초는

페이지 정보

작성자 onion 작성일25-04-07 19:34 조회7회 댓글0건

본문

4현재의 국명 복수초는 일제강점기에 저술된 조선식물향명집(정태현 외 3인, 1937)에 의한 것으로, 복(福)과 목숨 수(壽)를 사용하는데 복을 받으며 장수함을 의미한다. 국립수목원 2025.03.123유럽복수초Adonis aestivalisL.우리나라 자생 복수초 종류복수초2털복수초속명 Adonis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미소년의 이름에서 유래하였으며, 종소명 amurensis는 흑룡강이라고도 부르는 만주지방의 아무르강에서 처음 발견되었음을 의미한다.여름복수초쌍떡잎식물 목련강 미나리아재비과 복수초속의 여러해살이풀1Adonis multifloraNishikawa & Koki Ito국명(정식명칭)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임영석)은2025년 3월 11일 양구군 해안면 위치한 국립수목원의 분원인 DMZ자생식물원에서 북방계 식물 복수초(Adonis amurensis Regel Radde)가 개화했다고 밝혔다. 겨우내 쌓였던 눈이 녹으며 첫 복수초가 피어난 것이다.1개복수초의 종소명 pseudoamurensis는 '가짜의 amurensis'라는 뜻으로 복수초와 유사하다는 뜻에서 유래한 이름이며, 세복수초의 종소명 multiflora는 '다화의, 꽃이 많은'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福壽草, Amur adonisAdonis vernalisL.유럽복수초▲ 한국의 복수초 분포도(A. 복수초, B. 개복수초, C. 세복수초)우리나라 복수초 자생지2원예용 재배 복수초 종류꿩복수초Adonis pseudoamurensisW.T.Wang국내에서 생육하는 복수초는 해발 800m의 높은 산지에 생육하고 있으며, 주변에서 흔히 보이는 복수초속 식물은 대부분 개복수초이며, 특히 제주도에서는 세복수초만이 분포하고 있다.또한, 개복수초는 세복수초와 비교하면 줄기의 속이 차있고, 잎의 소열편이 피침형이며, 잎의 선단부는 뾰족하고, 꽃받침 너비가 꽃잎보다 넓으며, 수과괴는 타원형인 특징으로 구분된다.No복수초(福壽草)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국가표준식물목록개복수초유럽복수초DMZ자생식물원의 이봉우 과장은 “자원탐사와 현지외 보존 역량을 강화하여 북방계 식물자원의 활용성을 높이는 고유 역량 향상에 힘쓸 것이다”고 밝혔다.강원도 양구군 해안면에 위치한 DMZ자생식물원은 북방계 및 DMZ일원의 산림식물자원의 활용성 증진을 위해 설립되었다.학명Adonis amurensisRegel & Radde학명(scientific name)학명(scientific name)세복수초국립수목원, 복수초의 개화로 DMZ자생식물원의 봄을 알리다□봄의 전령사 복수초(Amur adonis) 개화 소식복수초는 최근 온도상승과 강수량 감소의 기후변화 실험 조건에서 개화 시작이 앞당겨지는 것은 물론 개체군의 전체적인 개화 시작과 종료 기간이 짧아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복수초여름꿩복수초복수초는 줄기가 분지하지 않기 때문에 꽃이 1개만 달리며, 잎보다 꽃이 먼저 개화하고, 꽃잎보다 긴 꽃받침이 8장인 특징을 가지며, 개복수초와 세복수초는 줄기가 분지하고 각각 줄기 끝에 꽃이 달려 꽃이 많이 달리고, 꽃잎보다 짧은 꽃받침을 가진 특징으로 구분된다.복 복(福)에 목숨 수(壽)를 사용하여복과 장수, 부유와 행복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꽃인 복수초는 새해 들어 가장 먼저 꽃이 핀다고 하여 봄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꽃 중 하나이다.국립수목원국명(정식명칭)여름꿩복수초우리나라의 복수초류 3총사(복수초, 개복수초, 세복수초) 중에서 가장 높은 해발 조건에서 생육하는 복수초는 일반적으로 현지외 보존이 어려운 식물종으로 알려져 있다.Adonis annuaL.DMZ를 찾아온 봄Adonis amurensisRegel & Radde var.pilosissimaD.C.Son & J.S.LeeAdonis amurensisRegel & Radde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주식회사 하임원예건축 건축사사무소  |  대표자 김진국  | 사업자등록번호 377-88-00723  |  TEL 033-241-8683  |  FAX 033-241-9749  
ADD 강원도 춘천시 퇴계로93번길 4-8 이삭빌딩 503호
E-mail visionkjkj@naver.com  |   Copyrightsⓒ2019 (주)하임원예건축 All rights reserved.  |  개인정보처리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