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치영어학
페이지 정보
작성자 Eden 작성일25-01-29 16:52 조회34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의미론은 대치영어학 언어의 의미를 연구하는 언어학의 한 분야입니다. 언어학은 크게 세 분야로 나눌 수 있는데소리를 다루는 음성학과 음운론, 문법을 다루는 형태론과 통사론 그리고 의미를 다루는 의미론이 그것인데요. 의미론은 다시 세 역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 단어(또는 어휘)의 의미를 다루는 역, 구 또는 문장이 지니는 의미를 다루는 역 그리고 발화단위 즉, 실제 언어 상황에서 쓰이는 말의 단위가 지니는 의미를 다루는 역. 이 세 번째 역(의미를 다루는 역)은 의미론에서 분리하여 화용론의 역에서 또 다룹니다. 그러므로 의미론은 크게 어휘의미론과 문장의미론으로 구성됩니다. 어휘의미론 Lexical Semantics: 단어의 의미와 단어들 사이의 의미관계를 연구하며, -nym으로 나타냅니다. 1. Synonyms 동의어소리는 다르고 의미는 같거나 거의 같은 단어들로 문장 안에서 어휘적 의역을 창출합니다.예1) sofa, couch예2) 대치영어학 apathetic, phlegmatic, passive위 단어들은 소리는 다르나 의미는 거의 같고, 문장안에서 같은 단어들로 취급됩니다. 2. Antonyms 반의어뜻이 서로 반대되는 말을 반의어라고 하지요. 그 안에서도 네 가지 종류로 나뉠 수 있습니다.(1) 상보적 반의어 예) absent/present, awake/asleep, alive/dead한쪽의 부정이 나머지 것과 동의어가 됩니다.absent(결석한) 이 아니다 ->present(출석한) 이 되는 것이지요.(2) 정도적반의어 예) small/big, fast/slow, hot/cold, happy/sad정도적 반의어에 명사를 붙여보면 어떤 반의어인지 감이 옵니다. 같은 fast이지만 명사 car와 plane을 붙여보면 fast car와 fast plane이 되지요. 이 둘의 fast의 정도는 다릅니다. (3) 상관적 반의어 예) give/receive, employer/employee, buy/sell물건이나 지식이 전해지는 방향만 반대로 대칭을 이룹니다.give가 내가 되고 receive가 너가 되었다가 반대로 give가 너가 되고 receive가 내가 될 수 있지요.(4) 자율반의어 대치영어학 예) dust/dust dust에는 먼지를 털어내다의 뜻도 있지만 가루를 뿌리다의 뜻도 가지고 있습니다. 동음이의어 중에서 대립되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단어들을 자율반의어 라고 합니다. 3. Hyponyms 하의어일반적인 것과 그것에 대한 구체적인 관계를 말합니다.예1) pink, yellow, red ->color의 하의어예2) tiger, leopard, lion ->feline의 하의어 4. Homonyms 동음이의어소리는 같고 의미가 다른 단어들을 homonyms라고 합니다.예1) pen 펜 / pen (가축의)우리, bank 은행 / bank 둑,제방 bat 박쥐 / bat 방망이위 예와 같이 소리는 같고 의미가 다른 단어들 외에도예2) two/too, flower/flour, tail/tale철자가 다르고 소리가 같은 단어들도 동음이의어에 속합니다. 5. Heteronyms 동철이음이의어철자는 같지만 발음도 다르고 의미도 다른 단어들.예1) dove[dʌv] 비둘기 / dove[doʊv] dive의 과거형예2) wind[wɪnd] 바람 / wind[waɪnd] 구불구불하다철자는 같지만 대치영어학 발음도 다르고 의미도 다른 단어들 예를 들어서 d,o,v,e 스펠링은 같지만dove[dʌv] 라고 발음하면 비둘기의 의미가 되고dove[doʊv] 라고 발음하면 dive의 과거형이 됩니다.이런 단어들을 heteronyms라고 합니다. 6. Metonyms 환유원래 이름 대신에 그것과 관련된 특성이나 개념으로 대치해서 부르는 어법을 말하는데, king 또는 the government ruled by the king을 대신해서 crown을 사용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예1) king / the government ruled by the king ->crown예2) baseball ->diamond, football ->gridiron, hockey ->ice, horseracing ->turf로 대신 사용. 문장의미론: 단어보다 큰 구나 문장의 의미와 구와 문장들 사이의 의미관계를 연구합니다. 1.The principle of compositionality 합성성의 원리합성성의 원리는 구 또는 문장 의미론의 기본적인 개념으로 구나 문장의 의미는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단어의 대치영어학 의미와 통사구조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입니다.예를 들어 the dog on the bed와 the bed on the dog는 구성하고 있는 단어는 같으나 핵어(head)가 다르므로 의미가 다릅니다. 2. Tautology 항진명제항상 참(true)이 되는 명제(proposition)를 말합니다.Circles are round. A person who is single is not married. 결혼 안한 사람은 싱글이라고 부르죠.이렇게 항상 참이 되는 명제를 tautology라고 합니다.3. Contradiction 모순항상 거짓(false)이 되는 명제(proposition)입니다.Circles are square. A bacheror is married. 4. Entailment 함의A가 참이면 B도 참이 되는 관계를 말하는데A : Tom swims beautifully. ->이 문장이 참이면B : Tom swims. ->B문장도 참이 맞죠.하지만 함의는 일방통행이어서 a가 b를 함의하지만 역은 성립되지 않습니다. 반대로 하면A : Tom swims. ->A가 참 이어도B : Tom 대치영어학 swims beautifully ->B가 참일 수는 알 수 없지요.* 단 부정문인 경우는 A가 B를 함의합니다.A : Tom doesn’t swim. 이 참이면,B : Tom doesn’t swim beautifully. 도 참이죠.^^ 5. Contradictory 모순된A가 참이면 B는 거짓, A가 거짓이면 B는 참이 되는 관계를 말합니다. A : Tom is alive.B : Tom is dead.두 문장이 모순된 관계에 있을 때, 그 두 문장을 등위접속사 and로 연결하면 모순이 됩니다.Tom is alive and Tom is dead. 는 모순이고 이를 Contradictory라고 합니다. 6. Paraphrase 의역표현은 달라도 의미가 같은 관계로능동태와 수동태, 강조구문, 여격이동의 경우가 있습니다.능동태와 수동태의 예) The dog bit the cat. The cat was bitten by the dog. 이렇게 수동태로 바꾸어도 같은 대치영어학 의미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강조구문의 예) Booth assassinated Lincoln. It was Booth who assassinated Lincoln. 강조구문으로 바꾸어도 같은 의미지요.여격이동의 예) Tom gave some money to the beggar. Tom gave the beggar some money.이렇게 예문과 함께 보시면 더 이해하기 쉬울거라 생각듭니다.;위에서 합성성의 원리는 구 또는 문장 의미론의 기본적인 개념으로 구나 문장의 의미는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단어의 의미와 통사구조에 따라 결정된다고 하였습니다. 하지만 합성성의 원리가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1. 첫 번째는 Anomaly(변칙성)인데요,Colorless green ideas sleep furiously. 이 문장을 보시면 colorless->색깔이 없는데도 불구하고green은 색깔이므로 모순이 있고idea에게 색깔이 있다는 것도 이상할뿐더러, 심지어는 idea 가 잠든다하고, 이 자는 행위를 맹렬하게라는 도저히 어울리지 않는 말로 꾸미고 있는 것을 대치영어학 보실 수 있습니다.이는 합성성의 원리가 지켜지지 않는 변칙성의 경우 입니다.2. 두 번째는 Metaphor(은유)로 글자적 의미로는 아주 이상하지만 그중 어떤 의미특성을 확장시켜 특정한 의미를 가지는 표현들이 있습니다.Walls have ears.Walls have ears.의미자질로 보면 말이 안되는 문장이지만(벽이 귀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우리는 이것을 이해할 수 있지요. (항상 말을 조심하라는 뜻)3. 다음은 idiom(관용어)가 있습니다.관용어는 형태가 고정되어 있으며 의미특성 결합규칙을 어깁니다.합성성의 원리는 지키지 않으므로, 따라서 숙어는 하나의 단어처럼 취급합니다.I’ll eat my hat. 내 손에 장을 지지겠다. 정말 내 모자를 먹겠다는게 아니지요.이디엄, 관용표현은 하나의 단어로서 이해하여야 합니다. 참고서적 영어학개론 핵심정리, 이영숙The Linguistic Structure of Modern English, Laurel J. Brinton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Donna M. Brinton University of Southern 대치영어학 California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