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글로비스 주가 전망 해상 운임 지수, 보장된 매출로 인한 상승일까
페이지 정보
작성자 Chubby 작성일25-01-30 10:03 조회8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안녕하세요.오늘은 해상운임 '항공화물 운송실적 추이-수출 해상운임은?'에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반도체 수출입 호황이 지속되고 중국발 전자상거래 물동량이 증가하면서 한국과 해외를 오간 항공화물 실적이 코로나19 사태 이전 수준을 넘어서 꾸준히 늘고 있다고 하는데요. 에어포탈에 따르면 국제선과 국내선을 포함한 항공화물 실적은 지난달 25만 9000톤으로 집계되었다고 합니다.올해들어 항공화물은 해상운임 상반기 내내 증가세를 보였으며 지난 2월 운송실적은 같은 기간 14.5% 급증하였고 꾸준히 우상향했다고 하는데요. 국제선 항공화물 운송이 올해 들어 6개월 연속 2019년 대비 물동량이 증가해 실적을 이끌었으며 코로나가 끝나면서 올해 다시 반등하는 양상이라고 합니다.1. 항공화물 운송 물동량이 증가한 요인은?이는 반도체 해상운임 수출이 살아난 영향이 컸다고 하는데요. 국제 물류의 95%는 선박으로 이동하지만 반도체는 품질 문제로 화물기를 통해 수출 하기에 산업 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달 반도체 수출액은 134억 달러로 2022년 3월 131억 달러를 넘어서 항공화물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고 합니다.또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쉬인 등의 해상운임 중국 e커머스를 통한 직구 역시 항공화물 운송 물동량이 증가한 요인 중 하나로 꼽을 수 있다고 하는데요. 항공화물 물동량이 전자상거래 활성화로 증가하면서 항공 운임도 5개월간 상승세이며 항공화물운임지수는 두달째 2100선을 유지하고 있다고 합니다.2. 중소 수출기업의 타격이 큰 이유는?글로벌 해상운임의 지표가 되는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해상운임 지난 12일 3674.9를 기록했다고 했으며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중국 상하이에서 출발하는 주요 15개 항로의 단기 운임을 지수로 나타낸 것으로 3700을 넘은 것은 코로나19 2022년 8월 이후 처음이라고 합니다.국내 수출기업들은 중국의 선복 싹쓸이로 화물을 아예 싣지 못하기도 한다고 하는데요. 해운업계에서는 중국에서 웃돈을 얹어서라도 해상운임 선복을 모두 채워 국내 입항을 패싱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부산의 경우 자금력이 부족한 중소 수출기업들이 많아 운임 영향을 크게 받기에 타격이 크다고 합니다.3. 해상운임 하락 및 상승 요인은?한국무역협회가 발표한 '해상운임 급등 긴급 물류 애로 설문조사'에 따르면 수출기업 573 곳 중 83.3%가 해상운임 수출입 물류에 애로를 겪고 있으며 수출기업들의 주요 애로사항으로는 물류비 증가 (40.1%), 선복 확보 차질(21.5%), 운송 지연 및 변동(19.8%), 컨테이너 부족(11.5%) 등 있다고 합니다.앞으로 해상운임도 하락 및 상승 요인이 모두 존재해 예측하기 어려우며 하락 요인으로는 임시 선박 지속투입, 8월부터 중국의 물량 해상운임 밀어내기 급감 등이 있으며 상승 요인으로는 성수기 지속, 글로벌 경기 회복에 따른 수출입 물량 증가가 있어 공급망 정상화하는 데는 수개월이 걸린다고 합니다.이상으로 '항공화물 운송실적 추이-수출 해상운임은?'에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더 많은 정보를 알고 싶은 분들은 아래 이미지를 클릭해주세요!!!
#항공화물 #물동량 #해상운임 #수출기업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